2017년 8월 13일 일요일

Raspberry Pi에 Raspbian 설치하고 초기 설정하기

 시간이 지날수록 Raspbery Pi에 Raspbian을 설치하고 초기 설정을 위해서 각종 설정파일을 편집하는 등의 작업이 갈수록 간단해지고 있어서 사실 이 포스팅은 대단히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는 건 아니다. 그저 갈수록 기억력에 의존하기가 어려워지면서 검색의 귀찮음을 줄여보고자 글을 쓸 뿐...

 그래서 간단하게 작업 순서, 각종 URL, 명령어 위주로 간단하게 기록을 남겨보려고 한다.

0. 준비

당연히 Raspberry Pi(이하 R Pi) 한 대가 있어야 겠고, Raspbian을 설치할 SD 카드가 하나 있어야 한다. SD 카드는 LITE 버전이면 4GB 이상이면 되고 Desktop 버전을 설치할 계획이라면 8GB 이상이 좋겠다. 그리고 SD 카드에 Raspbian을 설치할 PC가 한 대 필요하다. 윈도우, 맥, 리눅스 뭐든 좋다. SD 카드를 인식시킬수만 있으면 된다. Raspbian을 설치하고 최초에 한 번은 부팅 후 설정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HDMI 지원 모니터와 USB 키보드도 있어야 한다. PC에 연결된 걸 뽑아서 R Pi에 연결해서 써도 된다.

1. Raspbian 다운로드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DOWNLOAD 메뉴로 이동하면 Raspbian 링크가 있다. 링크로 들어가면 Desktop 버전과 LITE 버전이 따로 있으므로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2. Raspbian 설치

 위의 다운로드 페이지를 몇 줄 읽어보면 Installation guide 링크가 있다. 페이지 URL과 내용은 가끔 바뀌므로 링크를 직접 걸어놓지는 않겠다. 다운로드 페이지를 읽어보면 항상 링크가 있으므로 링크를 타고 들어가도록 하자.

 링크를 눌러서 이동해보면 "Etcher"라는 프로그램으로 다운받은 Raspbian 이미지 파일을 SD카드에 Write함으로써 설치가 끝난다. 역시 페이지 안에 Etcher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가 있으므로 링크를 눌러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도록 하자. Etcher는 윈도우, 맥, 리눅스용 버전이 모두 있으므로 자신의 PC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도록 하자.

 준비된 PC에 SD카드를 연결하고 Etcher를 실행해보면 별다른 설명이 필요없을 만큼 간단하게 이미지 파일을 SD카드에 Write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추가 설명은 하지않겠다. 예전엔 이 부분이 상당히 복잡한 과정이었는데 Etcher덕분에 말 할 수 없이 간단해졌다.

3. Raspberry Pi 초기 설정

 2.번에서 설치한 SD 카드를 R Pi에 꽂고 HDMI 모니터를 R Pi에 연결하고 USB 키보드를 R Pi에 연결해 준 후 R Pi에 전원을 넣으면 바로 부팅이 되고 로그인 프롬프트가 보일 것이다. 사실 추가 설정을 안해도 이 상태로 사용가능한 리눅스 머신이다.

 최초에는 디폴트로 "pi" 라는 계정이 있다. 패스워드는 "raspberry"이므로 입력해서 로그인을 해보도록 한다.

 로그인을 했으면 이제 각종 환경 설정을 할 차례다. 그냥 raspi-config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된다. 텍스트 모드이긴 하지만 충분히 설정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원하는 설정을 하도록 한다.
$ sudo raspi-config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반드시 해야할 것으로 몇 가지 추천하자면 아래 옵션들은 설정해 주는 게 좋겠다.
  • 비밀번호 변경
    pi 계정의 디폴트 패스워드는 누구나 알고 있으므로 바꿔줄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 SSH Enable
    기본으로 Disable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키보드없이 사용할 계획이라면 반드시 Enable시켜야 한다. "Interfacing Options" 메뉴로 들어가면 SSH를 Enable 시킬 수 있는 메뉴가 보일 것이다. Enable 시키도록 하자.
  • Locale, Timezone 설정
    이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사용하다보면 분명 필요한 시점이 올 것이다. "Localisation Options" 메뉴로 들어가면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이 보일 것이다. 적절히 설정하도록 하자. 단, "Change Wi-Fi Country" 메뉴는 건드리지 말자. 버그가 있는 지 이 값을 건드리면 무선랜 스캔이 되지 않는다. 디폴트 그대로 써도 아무 문제가 없으니 건드리지 않도록 한다.
 이제 모니터, 키보드 없이 네트워크만 연결되어있으면 어디서나 터미널로 연결해서 작업이 가능하다. PC로 이동해서 터미널을 열고 SSH 연결을 시도해보자. 이후 추가 작업은 SSH 연결을 통해서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시봐도 정말 간단하다. 수년 전 R Pi에 처음 뭔가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작업을 할 때와는 정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간단해졌다. 이제는 누구나 리눅스 머신 한 대 정도 운영하는 건 껌인 세상이다.


Related Posts:

  • Raspberry Pi에 Raspbian 설치하고 초기 설정하기 시간이 지날수록 Raspbery Pi에 Raspbian을 설치하고 초기 설정을 위해서 각종 설정파일을 편집하는 등의 작업이 갈수록 간단해지고 있어서 사실 이 포스팅은 대단히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는 건 아니다. 그저 갈수록 기억력에 의존하기가 어려워지면서 검색… Read More
  • Raspberry Pi 간단 명령어 정리Raspberry Pi를 사용하면서 자주 찾게되는 명령어들을 간단히 정리하려고 한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라고 생각되는 명령어가 생길 때마다 종종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설치 패키지 관리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 sudo apt-get update # 설치된 패… Read More
  • Raspberry Pi에 MariaDB 설치/삭제하기 Raspberry Pi에도 MySQL과 MariaDB가 모두 설치가능하다. 최신 버전은 아니고 현재 기준으로 MySQL은 5.5, MariaDB는 10.0 버전이 유효하다. (MariaDB가 더 버전이 높지만 base는 MySQL 5.5이다.) 인터넷을 찾아… Read More
  • Raspberry Pi WiFi 설정하기 Raspberry Pi 3에는 무선랜이 기본 탑재라서 WiFi 설정을 해 보았다. 설정 중에 겪은 몇 가지 문제점과 설정 방법을 여기서 다뤄보려고 한다. 무선랜 장치 조회  아래와 같이 iwconfig 명령을 실행해보면 기본 탑재된 무선랜 장치는… Read More
  • Raspberry Pi에서 USB 외장하드를 Root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가지고 있던 아이맥을 SSD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원래 있던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외장으로 Raspberry Pi(이하 R Pi)에 연결해서 써보려고 좀 알아보니 USB로 연결된 외장 하드가 Micro SD 카드보다 더 성능이 좋다고 한다. 게다가 Root 파… Read More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