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Web Server를 Front에 두고 그 뒤에 Tomcat을 연동해서 서비스를 하는 형태는 실제 상용 서비스에서 많이 적용하는 형태이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Apache Web Server 설치 방법과 Tomcat의 설치 방법을 다루었으므로 이번 포스팅은 두 서버를 연동하는 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브라우저를 띄워서 현재 두 서버가 설치된 EC2 인스턴스의...
지난 포스팅에서 Amazon Linux 2에 Apache Web Server를 설치해보았으니 이제 Tomcat을 설치해 보려고 한다.
Amazon Linux 2를 처음 설치하면 JDK 조차도 설치되어있지 않다. Tomcat은 Java 환경에서 실행되는 서버이므로 일단 JDK부터 설치해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yum 명령을 실행해보면 어떤 버전의 JDK 패키지가 제공되는...
얼마 전 AWS의 Free Tier 이용을 위해서 AWS에 계정을 하나 만들었다. AWS에서 계정 생성 후 1년간 Free Tier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에 웹 서비스 개발 환경을 구축해볼까하여 EC2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었다.
Free Tier에서 사용 가능한 AMI(Amazon Machine Image)가 여러가지가 제공되고 있었지만 아무래도 아마존에서 직접...
미국의 온라인 유통 기업이었던 아마존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이용하던 기술을 활용해서 클라우드 서비스인 Amazon Web Services(이하 AWS)를 시작했다. 그런데 이게 굉장히 체계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어서 정말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하고 있다. 최근에 작업 했던 국내 대기업의 외주개발 업무에서도 자체 IDC가 아닌 AWS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보고...
개발 환경으로 맥을 사용해 오다가 아이맥의 가격이 너무 비싸졌다는 생각이 들어서 서버 개발 환경으로 리눅스를 사용해볼까 하여 PC에 리눅스를 설치해보았다. 일단 많이들 사용하는 Ubuntu 배포본으로 설치를 했고 현재 가장 최신인 18.04 버전을 설치하였다.
Ubuntu가 18.04 버전이 되면서 기본 설치되는 입력기는 IBus이다. 일단 한글 문제가 없는 지 테스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