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31일 화요일

Java Enum 사용하기

 자바에서 제공하는 Enum 타입은 C++에서의 enum이 정수형 상수의 역할을 하는 것과는 달리 거의 완전한 클래스로서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는 것과 같다. 덕분에 C나 C++ 같은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들이 처음 Java의 Enum을 접하게되면 약간 당황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의 Enum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반적인 Enum의 사용 코드 샘플을 보여주고 간단하게 설명 해볼까 한다.  그럼 먼저 가장 간단한 형태의 Enum의 선언을 보자. public enum Order...

2018년 7월 26일 목요일

Spring Boot에 Security 적용하기

 이번 포스팅은 Spring Boot로 Web app을 개발할 때 Spring Security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가능하면 가장 기본적인 설정만으로 구현할 것이고 Thymeleaf와의 연동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할 것이다.  일단 간단한 Web app이 개발된 상태라고 가정하는 게 Security에만 집중해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2018년 7월 20일 금요일

Spring Boot Internationalization(다국어 지원)

 Spring Boot로 Web app을 개발할 때 다국어 지원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대부분 한 번쯤은 고민을 해보았을 것이다. 그 때마다 항상 인터넷을 뒤져서 처리하곤 했는데 생각이 난 김에 필요할 때 참고하기 좋도록 여기에 정리해볼까 한다.  Spring Boot의 가장 큰 장점은 대부분의 설정이 이미 되어있어서 별로 설정하지 않아도 웬만큼 쓸만하게 돌아간다는...

2018년 7월 9일 월요일

Spring Boot 프로젝트를 War로 패키징하기(생성하기)

 Spring Boot를 사용하는 이유를 나열해 본다면 많은 장점들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꽤나 큰 장점으로 Embedded Tomcat을 내장함으로써 Web 프로젝트 개발 시에 그리고 배포시에 매우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간편함을 들 수 있겠다. 하지만 현업에서 실제 배포시에 Jar 파일을 그대로 실행해서 서비스를 하는 경우는 드물고 Apache + Tomcat 환경에서 War...

2018년 7월 6일 금요일

(AWS) Amazon Linux 2에 Tomcat 9 설치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yum을 이용한 Tomcat 설치에 대한 얘기를 했으나 yum으로 배포되는 Tomcat의 버전이 7.x 인지라 최신 버전을 이용해야 하는 개발자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yum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Tomcat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최신 Tomcat 9.x 버전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려고 한다.  참고로 Amazon Linux...

2018년 6월 29일 금요일

(AWS) Apache(Web Server)와 Tomcat 연동하기

 Apache Web Server를 Front에 두고 그 뒤에 Tomcat을 연동해서 서비스를 하는 형태는 실제 상용 서비스에서 많이 적용하는 형태이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Apache Web Server 설치 방법과 Tomcat의 설치 방법을 다루었으므로 이번 포스팅은 두 서버를 연동하는 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브라우저를 띄워서 현재 두 서버가 설치된 EC2 인스턴스의...

2018년 6월 27일 수요일

(AWS) Amazon Linux 2에 JDK & Tomcat 설치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Amazon Linux 2에 Apache Web Server를 설치해보았으니 이제 Tomcat을 설치해 보려고 한다.  Amazon Linux 2를 처음 설치하면 JDK 조차도 설치되어있지 않다. Tomcat은 Java 환경에서 실행되는 서버이므로 일단 JDK부터 설치해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yum 명령을 실행해보면 어떤 버전의 JDK 패키지가 제공되는...

2018년 6월 25일 월요일

(AWS) Amazon Linux 2에 Apache Web Server 설치하기

 얼마 전 AWS의 Free Tier 이용을 위해서 AWS에 계정을 하나 만들었다. AWS에서 계정 생성 후 1년간 Free Tier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에 웹 서비스 개발 환경을 구축해볼까하여 EC2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었다.  Free Tier에서 사용 가능한 AMI(Amazon Machine Image)가 여러가지가 제공되고 있었지만 아무래도 아마존에서 직접...

2018년 6월 24일 일요일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미국의 온라인 유통 기업이었던 아마존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이용하던 기술을 활용해서 클라우드 서비스인 Amazon Web Services(이하 AWS)를 시작했다. 그런데 이게 굉장히 체계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어서 정말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하고 있다. 최근에 작업 했던 국내 대기업의 외주개발 업무에서도 자체 IDC가 아닌 AWS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보고...